BACK

ART IN CULTURE / 2011.11

₩ 6,000

현재 세계비엔날레재단(The Biennial Foundation)에 속한 비엔날레는 105개가 넘는다. 비엔날레와 트리엔날레가 2~3년의 기간을 두고 열리는 행사임을 고려해도, 1년 내내 비엔날레를 보러 다녀도 시간이 부족할 것이다. 당대의 시각예술 중 가장 전위적이고 문제적인 작품을 한데 모아, 세상을 보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던 비엔날레의 위풍당당한 포부는 옛말이 됐다. 일각에서는 비엔날레 무용론도 주장한다. 오늘날 비엔날레가 처한 대표적 문제로는 첫째, 차별화되지 못한 상투적인 반복을 들 수 있다. 서로 다른 지역에서 열릴 뿐, 다수의 비엔날레가 비슷한 주제 감독 작가의 돌림노래를 지루하게 반복한다. 비행기로 전세계를 오가며 커리어를 쌓기에 바쁜 '제트플라잉 큐레이터'와, 비엔날레의 스펙터클과 동시대미술의 대표적 담론에 부합하는 작품으로 유수 비엔날레를 투어하는 '비엔날레형 작가'마저 등장했다. 둘째, 아트페어의 규모가 미술시장의 성장과 함께 확대되면서 볼거리 풍성한 '미술 이벤트'의 입지마저 약화됐다. 스펙터클한 전시 자체가 비엔날레의 핵심은 아니지만, 비엔날레를 찾는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비엔날레적인 볼거리를 요구한다. 셋째, 비엔날레가 각 도시의 '지역 활성화'라는 사회 경제적 맥락에 부합하는 '쇼' 역할에 몰두했다는 점이다. 1990년대 후반,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지의 도시에서 발생한 '비엔날레 붐' 현상이 대표적 사례이다. 한편 제3세계의 비엔날레 확산은 세계 문화 예술계의 지형도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자구책의 일환으로써 비엔날레가 적당했기 때문이다. art는 2011년 하반기, 전세계에서 열린 크고 작은 비엔날레 중 비엔날레의 대안을 새롭게 모색하는 리옹비엔날레, 요코하마트리엔날레,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 이스탄불비엔날레,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등 다섯 비엔날레를 집중 조명한다. 비엔날레를 다녀온 다섯 명 필자의 리뷰와 각 비엔날레 총감독 및 큐레이터의 인터뷰를 함께 준비했다. 이로써 비엔날레의 껍질과 속살을 함께 들여다 볼 기회를 제공한다. 비엔날레의 '양적 팽창'과 '질적 저하'가 공존하는 위기의 상황이다. 이제 다시 비엔날레의 역할과 가치를 물을 때다.

01
표지 김영나 <자화상> 270×180cm 벽지에 프린트 2011
34
영문초록
37
에디토리얼 김복기
38
핫피플 유진상 2012미디어시티서울 총감독
42
프리즘 새로운 게이트키퍼, 기업 미술상의 명암 호경윤 내가 사회적 이슈에 동참하는 이유는? 박은선
46
오후의 아틀리에 산들의 높이와 바다의 넓이 정재규
62
포켓 속〉〉〉디카 속〉〉〉이미지 채집 로와정 낯선 곳에서의 식사
68
포커스 소통의 기술展|임민욱展 서현석 방혜자展|신미경展 전영백 이경展|박기진展 이선영 박이소展 정헌이
88
특집 World of Biennale 5 [1] 인터뷰 빅토리아 누트론 | 오사카 에리코 | 제인 파버 아드리아노 페드로사, 옌스 호프만 | 정준모 [2] 비엔날레 리뷰 리옹_치명적인 아름다움이 나타났다 김순남 요코하마_시공간 넘어, ‘마법의 여행’을 떠나다 김복기 인천_여성미술, ‘미지의 대지’에서 만나다 조선령 이스탄불_‘무제’의 미학, 비엔날레 DNA를 비틀다 이용우 청주_공예와 예술의 ‘유용지물’을 다시 묻는다 김주원
138
WHO WE MET 세라 손튼
140
아티스트 인사이드  김혜나_감정의 전도율을 새기다 김재석 김영나_수집과 재구성의 규칙 장승연
149
해외작가 데니스 오펜하임 권력을 해체하는 예술 최옥경
162
이미지 링크 Less Dirty Trip
168
전시 리뷰  해인아트프로젝트|시티-넷 아시아|장보윤 공성훈|아르코 몽골 노마딕 레지던지 테크놀로지, 전통을 만나다 박소영|공간접기|손동현
178
전시 프리뷰  조선화원대전|유어인천 레슬리 드 차베즈|김윤성, 세계유물 텔미텔미|백순실|김상연
184
BRAND NEW 화이트블록갤러리
188
동방의 요괴들 화살표의 충돌, 그 신선한 화학작용 윤규홍
194
에디터스 블로그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2024.11.01~)
[만료]고흥군청(2024.11.01~2025.01.08)
[만료]한솔제지(2024.11.13~2025.01.08)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