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ART IN CULTURE / 2025.12
15,000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조각가 이불. 그는 40여 년간 인간의 욕망과 유토피아의 허상을 추적해 왔다. 몸과 사회, 인간과 기술, 자연과 문명의 관계를 조각, 설치, 미디어, 회화 등으로 집요하게 풀어낸다. 최근 리움미술관에서 열린 대규모 서베이 전시 <이불: 1989년 이후>(9. 4~2026. 1. 4)가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작가가 거대 서사로 관심을 크게 확장한 1990년대 후반을 기점 삼아 최근까지의 작품 150여 점을 총망라했다. Art는 작가와 만나 그 격동의 삶과 예술세계를 긴밀히 들여다봤다. 한편, 현대조각의 대모 루이즈 부르주아(1911~2010)의 최대 규모 회고전 <덧없고 영원한>(8. 30~2026. 1. 4)이 용인 호암미술관에서 열렸다. 1940년대 초기 회화부터 말년의 패브릭작품까지 106점을 집대성했다. 이 전시를 맞아 부르주아의 삶과 예술을 입체적으로 살핀다. 미술전문가 7인이 일곱 개의 키워드로 부르주아 예술의 실타래를 풀어냈다. ‘거미’ ‘붉은 방’ ‘글쓰기’ ‘신체’ ‘트라우마’ ‘바느질’ ‘삶’으로 직조하는 심오하고도 내밀한 세계….

COVER
이불 <장엄한 광채> 생선, 시퀸, 비닐봉지 20×15cm 1993 © Lee Bul, Photo: Kim Soon-shin
SPECIAL FEATURE
루이즈 부르주아 삶과 예술의 신화, 7개의 실마리
084
❶ Spider ‘엄마 거미’, 도상학의 비밀 / 진휘연 ❷ Red Room 붉은 방, 금기를 열어라! / 김누리 ❸ Writing 글쓰기, 창작의 이정표 / 김보라 ❹ Body 몸, 페미니즘 신체 조각 / 정연심 ❺ Trauma 트라우마, 기억의 상흔 / 조선령 ❻ Sewing 바느질, 아픔의 봉합술 / 김주원 ❼ Life 삶, 꿈과 사랑의 포에시스 / 임현숙
FOCUS
044
아드리안 비야르 로하스展: ‘인류 이후’의 지구는? / 안소연 미첼 페레즈 폴로展: 언어 이전의 형상 / 박천 로랑 그라소展, 봄의 선언展: ‘봄’은 다시 오는가 / 양초롱 임직순展: 꽃, 소녀, 빛 / 조은정 죠셉 초이展: 다시 태어나는 자아 / 김복기 이철량展: 먹빛 도시 / 송희경 차승언展, 이은우展: 도메스틱의 직조 / 박주원 손기환展: 팝의 정치학 / 김진하
SPECIAL ARTIST
068
이불: 사이보그의 꿈, 신인류의 유토피아 / 이현
ARTIST
104
김지원: 회화 실험, ‘옆구리’ 찌르기 / 이성휘 이강화: 빛의 울림, 바람의 결 / 홍경한
CRITIC
116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미디어, ‘유령’의 무대 / 김지훈
SERIES
광복 80년 한국미술 80년 ❽ 비평
130
앙케트
비평의 얼굴, 매체-이론-현장
전문가 80인이 뽑은 Key Person / 김복기
146
크리틱 ❶ 세계성과 한국성, 비평의 동맥 / 최열 크리틱 ❷ 다원화 시대, 비평의 탈구축 / 임근준
REPORT
162
❶ 아이치트리엔날레 재와 장미의 시간, 전쟁 중단! / 변선민 ❷ 아트자카르타 적도의 에메랄드, 공동체의 회복! / 최수연
ZOOM IN
170
조현화랑, 프랑스 원로 화가 베르나르 프리츠 개인전 / 최수연 비선재갤러리, 신생 아트페어 서울아티스트페스티벌2025 론칭 / 조재연 2025인구주택총조사 동성 부부 입력 허용, 미술계의 변화는? / 박민영 판타지 영화감독 기예르모 델 토로, 신작 <프랑켄슈타인> / 안신영 제27차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두바이 총회 성료 / 신유정 미술상 수상 소식 6 / 최수연 제23회 피칭 - 제약을 뚫는 제약 / 안희제
ETC.
042
Editorial 한솔제지, 감사합니다! / 김복기
ART IN CULTURE / 2025.12 • ART IN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