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ART IN CULTURE / 2013.05

₩ 6,000

한국 미술작품의 기증 역사에 새 장을 쓴 동강(東江) 하정웅. 재일한국인 2세인 그는 50년 동안 수집한 9,800여 점의 미술 작품 및 자료를 1993년부터 고국의 공공미술관에 기증해 왔다. 올해, 그가 기증한 주옥같은 작품들이 국토대장정에 나섰다. 광주시립미술관을 비롯한 5개 미술관 소장 하정웅 컬렉션이 2015년까지 8개 시도립미술관에서 순회전을 열게 된 것. 『격동기의 혁신예술: 재일작가를 중심으로』전(4. 30~5. 26 서울시립미술관)을 시작으로, 하정웅 컬렉션은 서울-광주-부산-전북-포항-제주-대전-대구를 차례로 거치며 그의 뜨거운 기증 정신을 혈육의 땅 곳곳에 전할 예정이다. Art는 1999년 11월, 광주시립미술관 2차 기증 특별전에 맞춰 하정웅 컬렉션을 대대적으로 소개한 바 있다. 이번에는 전국시도립미술관의 유례없는 '개인 컬렉션 순회전'을 기념하며 하정웅 컬렉션을 재조명한다. 먼저 광주시립미술관에 소장된 하정웅 컬렉션의 주요 작품을 엄선, 화보로 구성하여 하정웅이 추구해 온 컬렉션의 방향과 여기에 흐르는 고유한 철학을 소개한다. 이어서, 1989년부터 시작된 취재를 바탕으로 하정웅 컬렉션의 미술사적, 역사적 가치와 위상을 되짚는 글을 싣는다. 미술을 향한 개인의 열정을 넘어 역사의 질곡과 애환을 보듬는 상징으로 자리하기까지, 하정웅이 그려온 미술의 길을 함께 걸어 본다.

COVER
리암 길릭(Liam Gillick) 알루미늄 190×120×10cm 2013
SPECIAL FEATURE
하정웅 컬렉션
103
한 컬렉터가 걸어 온 미술의 길
122
왜, 우리는 ‘하정웅 컬렉션’을 주목해야 하는가? / 김복기
128
동강(東江) 하정웅의 삶과 미술
THEME SPECIAL
The Art-Architecture Complex
142
미술과 건축의 원격 조응 / 임근준 AKA 이정우
ARTIST
086
리암 길릭 담론의 플랫폼 / 김성원
094
소피 칼 예술이 된 ‘삶’ / 정현
138
ART LAB 게르하르트 슈타이들: 책이 예술로 태어나다 / 김재석
CRITIC
062
FOCUS 스털링 루비展, 더 완벽한 날展: ‘리사이클’의 전략 / 정연심 이명미展: 영혼을 울리는 삶의 찬가 / 박소영 금은보화展: 전통 미술의 ‘전시 가치’는? / 장동광 젊은모색展, 프랑스 젊은 작가展: ‘오래된 것’, 두 개의 코드 / 이선영 대만현대미술展: 동아시아 미술의 재발견 / 윤진섭 권여현展: 판옵티콘의 욕망 / 양효실 지슬-끝나지 않은 세월2, 비념: 예술, 죽은 자를 위령하다 / 함영준
SERIES
132
On Contemporary Art 누가 예술가를 이웃으로 만드는가? / 임경용
ETC.
058
EDITORIAL / 호경윤
163
ART FIELD
178
P.S.
179
SUBSCRIPTION
180
CREDIT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2024.11.01~)
[만료]고흥군청(2024.11.01~2025.01.08)
[만료]한솔제지(2024.11.13~2025.01.08)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