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ART IN CULTURE / 2025.05

₩ 15,000

한국 추상회화의 기점은 1950년대 후반이다. 해방 공간과 6·25전쟁을 거치면서 새로운 미의식과 조형 이념이 시대의 쟁점으로 떠올랐다. 추상미술의 발단은 한국 현대미술의 태동과 겹쳐있다. 이 시기 젊은 세대는 적극적인 역사 인식을 바탕으로 그룹 운동을 전개하고, 집단적인 담론 활동을 펼쳤다. 1957년에는 모던아트협회, 현대미술가협회, 창작미술가협회, 신조형파가 잇따라 조직됐다. 이들은 국전 중심의 아카데미즘을 거부하고, 재현을 벗어난 비정형 화풍을 지향했다. 1960년대 이후 추상미술은 단체의 비전을 넘어 시대적 풍조로 확산했다. 서구의 조형 어법이 이식되는 과정에서 한국 미술계는 정체성 확립과 국제 진출이라는 과제에 직면했다. 한국적 앵포르멜과 추상표현주의 등 현대회화 양식을 수용하면서 동시대미술과의 격차를 좁혀 나갔다. 2000년대에는 1970년대 한국의 모노크롬 회화가 ‘단색화’라는 이름으로 국제 무대에 돌풍을 일으켰다. 해외 주요 비엔날레와 아트마켓에 단색화가 진출하면서 한국 미술이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오늘날 추상회화는 디지털 환경을 배경으로 끝없이 진화하고 있다. 그 핵심 키워드는 ‘무시간성’이다. 인터넷을 창작의 원동력으로 삼는 동시대 추상화가는 시공을 초월해 여러 스타일을 혼합하고, 전통회화의 매체적 조건을 21세기 버전으로 재창안하고 있다. Art는 광복 80년을 맞아 추상회화가 걸어온 도정을 되돌아보고, 내일의 방향을 모색하는 특집을 기획했다. 먼저, 추상회화의 주역을 선정하는 앙케트를 마련했다. 전문가 80명이 136명의 작가를 추천했다. 이 앙케트 결과를 면밀히 분석한다. 또한 두 편의 크리틱으로 한국 추상회화 80년의 시대별 쟁점을 폭넓게 조망한다. 김주원은 20세기 한국 추상미술이 서구 미술의 수용과 모방을 넘어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해 나간 과정을 추적한다. 신혜영은 2000년대 국제 아트씬의 ‘좀비 형식주의’를 참조해 한국 추상회화의 최신 경향을 분석한다.

COVER
박미나 <Two Suns Scream> 캔버스에 아크릴릭 200×200cm(부분) 2005 Courtesy of the artist
SPECIAL SERIES
광복 80년 한국미술 80년 ❷ 추상회화
076
Enquete
추상회화의 도약, 시대의 주역은?
전문가 80인이 뽑은 Key Person
092
Critic ❶
한국적 모더니즘 세계화의 여정 / 김주원
Critic ❷
디지털 시대의 ‘좀비’ 추상회화 / 신혜영
FOCUS
048
김아영展, 트로마라마展: 디지털, 뉴 리얼리티 / 홍경한
두 번째 피부展, 장승근展: 그림은 ‘피부’다 / 정희영
권기수展: ‘동구리’의 유람도 / 서성록
자이더 에스벨展, 나이젤 쿡展: 풍경, 만물의 그물 / 고충환
이마즈 케이展, 마츠야마 토모카즈展: 전통의 다국적 변용 / 박재용
강종열展: 동백, 그날에 바치는 꽃 / 홍지석
김민훈展: 외피의 포에시스 / 서예원
THEME SPECIAL
네오 로코코 행복의 소용돌이
142
카테고리 화보
은밀한 로맨틱, 유희의 회화
가볍고 얕은 친화적 관계, ‘디지털 살롱’
여성과 퀴어, 섹슈얼리티의 정치학
풍요로운 장식, 소비 사회의 라이프 스타일
156
크리틱
네오 로코코, 명랑한 도발! / 남웅
IMAGE LINK
104
리처드 리로이드: 죽음에게 묻는다, 우리의 생을 / 조재연
ARTIST
126
신학철: 욕망의 콜라주, 혁명의 서사 / 임근준
110
이용덕: 역상조각, 반전의 마력 / 정연심
ZOOM IN
158
프랑스 작가 로르 프루보, 베를린 크라프트베르크 개인전 / 박은지
오사카한국문화원, 특별전 <시간을 잇다> / 선산
가정의 달 맞이 어린이 참여형 전시 4 / 최수연
경기도박물관×『아트인컬처』 토요 인문학 강좌 협약 체결 / 최수연
스페이스윌링앤딜링, 화가 임노식 신작 개인전 / 조재연
화제의 영화 <서브스턴스>, 비체 미학으로 다시 읽기 / 최윤서
큐레이터의 사랑법 / 박수정
ETC.
050
Editorial 상반기 미술시장, ‘쇼’는 계속된다 / 이현
자사 구독 광고
자사 이우환 광고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