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ART IN CULTURE / 2014.09

₩ 6,000

제10회 광주비엔날레(9.5~11.9)가 개막한다. 1995년 한국의 첫 국제 비엔날레로 출범한 후 어느덧 20년이 지났다. 스무 살 건장한 '성인'이 된 광주비엔날레는 아시아 탑, 세계 5대 비엔날레로 우뚝 섰다. 지금, 광주비엔날레는 '세계'의 비엔날레다. Art가 광주비엔날레 20년의 역사를 재조명하는 대형 특집기사를 꾸미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광주비엔날레는 21세기 한국 미술계를 움직이는 중요한 제도이다. 창작은 물론 전시 기획, 미술의 국제화, 문화행정 시스템 등과 같은 미술 환경에 폭넓은 영향을 끼쳐 왔다. 광주비엔날레 창설 이후 한국에 크고 작은 비엔날레가 10여 개나 생겨났으며, 아시아에서도 50여 개의 비엔날레가 뒤를 잇고 있다. 광주비엔날레는 한국을 넘어 아시아 '최초' '최대' '최고'의 비엔날레로 국제적 위상을 드높이고 있다. 특히 오늘날의 비엔날레가 다원주의와 혼종성 등 컨템포러리 아트의 '살아 있는' 담론을 이끌고, 글로벌 아트 네트워크의 거점으로 부상한 점을 상기하면 광주비엔날레가 갖는 문화적 의미는 미술의 동시대성으로 뻗어나간다. 광주비엔날레는 더 이상 '광주'의 비엔날레가 아니다. Art는 광주비엔날레의 20년의 역사, 그 씨줄과 날줄을 분석한다. 먼저 제1회전시부터 역대 출품작과 올해 제10회 전시의 주요 작품을 묶어 '하이라이트 지면 전시'를 꾸몄다. 각 전시마다 주제와 구성, 평가 등을 요약하고, 전시 주제에 부합하는 작품을 선별했다. 한국의 전시 기획의 변천은 물론이고 컨템포러리 아트의 역동적인 지형 등 시간의 흐름을 조망할 수 있다. 또한 광주비엔날레 20년의 산증인 이용우 대표이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비엔날레 설립 배경, 상임부이사장으로 부임 이후 펼쳤던 시스템 정비와 사업 전략, 비엔날레의 경쟁력과 생존, 그리고 비엔날레와 살아 온 라이프 스토리까지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는 자리다. 또한 광주비엔날레의 발자취를 조사 정리한 아카이브를 실었다. 매회 이사회, 감독 및 작가 선정, 작품 설치, 해외 홍보, 심포지엄 등 비엔날레의 막전막후, 그밖의 재단에서 벌이는 다양한 부대사업을 연보로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광주비엔날레를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엔날레에서 활약했던 미술계 인사와 '숫자로 본 광주비엔날레'를 덧붙였다.

COVER
마류밍(Ma Liuming) 〈No.28〉 캔버스에 유채 200x150cm 2008 학고재갤러리 제공 ⓒ Ma Liuming
SPECIAL FEATURE
光州 20年 1995-2014 Gwangju Biennale
100
❶ Pictorial 다시 보는 광주비엔날레, 제1회부터 제10회까지
134
❷ Interview ‘비엔날레 타짜’의 광주 이야기 / 호경윤
144
❸ Chronology 광주 오디세이 / 탁영준
FOCUS
058
올해의 작가상2014展: 경계 위의 게임 / 이선영 홍승혜展: 픽셀의 수사학 / 김해주 스펙트럼-스펙트럼展: ‘동시대성’이라는 스펙트럼 / 정연심 김옥선展: 나무의 관상 / 김계원 이탈리아 젊은 작가展: 모순과 역동의 ‘청년 의식’ / 양효실 새벽질주展, 김병국展, 김종범展: 가장자리를 향하여 / 안소연
ARTIST
078
마류밍(Ma Liuming) : 부유하는 주체, 저항의 예술 / 김복기
088
김종구 : 쇳가루 산수화, ‘짜름’과 ‘흩음’의 미학 / 김종길
MEMORIAL
156
온 카와라(On Kawara) : 날짜 여행자 / 김승덕 & 프랑크 고트로(Franck Gautherot)
ART LAB
166
박흥용: 만화가, 생명의 메신저 / 채연
NEW VISION
171
2014뉴비전미술평론상 ❶ 심사평 / 유진상, 정연심, 임근준 ❷ 파이널리스트 선정 김구림展 / 문정현 생명수업: 세상에게展 / 이빛나 다음 문장을 읽으시오展 / 이기원
ART ON PAGE
096
오늘날의 부침개 / 구민자
ETC.
057
EDITORIAL / 김복기
181
ART FIELD
196
P.S
197
SUBSCRIPTION
198
CREDIT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2024.11.01~)
[만료]고흥군청(2024.11.01~2025.01.08)
[만료]한솔제지(2024.11.13~2025.01.08)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