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Art 기자와 필진이 전하는 생생한 현장 리포트와 프리뷰 ‘아트 패트롤’! ‘에콜 드 부산’을 목표 삼아 부산에 특화된 해양 미술 축제로 성장한 〈바다미술제〉(9. 19~10. 18, 다대포 해수욕장), “우리 삶은 본래 자연의 일부”라는 자연관을 바탕으로 인간과 대지가 더불어 사는 지역재생 프로젝트를 실험하는 제6회 에츠고-츠마리트리엔날레(7. 26~9. 13, 일본 니가타현 도카마치 및 츠난 지역 일대), 2004년 기본계획안 수립 후 장장 11년의 준비 기간을 거쳐 올해 9월 4일 부분 개관한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한국자연미술가협회 ‘야투’가 설립한 ‘2014~2018 글로벌노마딕아트프로젝트’의 두 번째 행사 〈2015 글로벌노마딕아트프로젝트-코리아 Ⅱ〉(8. 10~9. 19, 한국 중북부 지역 9곳),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 주목하는 뉴미디어 아트 페스티벌 아르스일렉트로니카(9. 3~7, 오스트리아 린츠 일대), ‘아트 서울’이라는 새로운 캐치프레이즈를 달고 최근 불거진 한국 미술시장의 위기론에 정면으로 맞서는 제14회 한국국제아트페어(10. 6~11, 코엑스)를 소개합니다. 또한, 동시대 미술은 분단을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는지, 그 시선의 안과 밖, 겉과 속을 조망하는 코너도 마련했습니다. ‘북한 이슈’를 선점해 온 남한 미술의 역사적 양상을 살피고 시대별로 남북 관계의 변화가 대중예술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진단하는 등 때로는 지극히 사실적이고, 때로는 한없이 추상적인 분단 시대의 ‘풍경화’를 들여다봅니다.
COVER
수 웬치(Su Wen-Chi) 〈지도 바깥(Off the Map)〉 2015_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예술극장 〈개관 페스티벌〉 공연 장면. 아시아예술극장 제공
SPECIAL FEATURE
080
➊ 바다미술제: 다대포에 싹튼 예술의 ‘씨앗’ / 호경윤
➋ 에치고-츠마리트리엔날레
: 지역재생과 투어리즘의 롤모델 / 백기영
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아시아의 ‘배꼽’, 문화발신기지 광주/ 탁영준
➍ 글로벌노마딕아트프로젝트
: 자연 속의 미술, 발끝에 핀 꽃 / 채연
➎ 아르스일렉트로니카
: ‘예술-과학-삶’의 오케스트라 / 허대찬
➏ KIAF: 다시, 미술시장의 핫스팟을 꿈꾸며 / 장승연
HOT ISSUE
134
브릴리언트 코리안 아트
: 현대자동차 글로벌 아트 프로젝트 / 호경윤
FOCUS
060
이승택展: 끈의 드로잉 / 이임수
쿤 반 덴 브룩(Koen van den Broek)展
: 의식의 파동 / 이선영
조덕현展: 덕현에게 / 유진상
진챙총, 지우맨展: 이벤트의 공간 만들기 / 정현
배종헌展: 작업집서, 파편의 기록들 / 류철하
THEME SPECIAL
150
분단시대 ‘풍경화’
➊ ‘평행 주체’로 남북 바라보기 / 김종길
➋ ‘인간 픽셀’, 이미지의 절대 권력
/ 왕 궈펑(Wang Guofeng)
➌ (비)무장지대의 한반도, 은밀한 ‘약속’ / 김진주
➍ 내가 본 북한의 ‘가난 vs. 사치’
/ 잉고 니어만(Ingo Niermann)
➎ 영화로 보는 북한의 두 얼굴 / 전영선
NEW LOOK
144
강서경: 오브제와의 ‘핑퐁 게임’ / 이현
146
아말리아 울만(Amalia Ulman)
: 위선의 ‘셀카’ 미학 / 채연
ART ON PAGE
142
화면비 악보(Score of Aspect Ratios) / 노재운
ART FIELD
163
아시아현대미술展, 곽남신展, 정은영展,
니콜라스 펠처展, 판호展, 대구아트페어,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展, 김승희展 등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