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ART IN CULTURE / 2016.07

₩ 6,000

김세중조각상이 출범 30년을 맞았다. 이 상은 한국 현대조각 제1세대 작가 김세중(1928~1986)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상. 김세중은 서울대 미대 1회 졸업생으로 서울대 교수,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을 역임했다. 김세중기념기업회(이사장 김남조. 시인, 숙명여대 명예교수)는 지난 6월 24일 고인의 옛 자택에 신축한 복합문화공간 ‘예술의 기쁨’에서 제30회 수상식을 개최하고, 역대수상작가 기념전을 열고 있다. 김세중조각상은 지난 30년 동안 본상 30명, 청년상 33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수상자의 면면은 한국 현대조각의 얼굴과 겹쳐 있다. Art는 수상작가 63명의 작품을 화보로 꾸며 시대별 양식별 흐름을 조망한다. 더불어 김세중조각상의 의미와 한국 현대조각의 발자취를 되짚는다. 한편, ‘국민화가’ 이중섭은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았다. 이를 기념하는 대형 회고전 <이중섭, 백년의 신화>(6. 3~10. 3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가 열리고 있다. Art는 이번 회고전을 계기로 이중섭을 둘러싼 ‘신화’를 재점검하는 특집을 기획했다. 그의 작품 세계를 동물 가족 풍경 엽서화 은지화로 나누어 화보를 꾸몄다. 이중섭의 생애 50년, 사후 50년의 드라마! 그 100년의 ‘신화’를 이룩한 결정적 장면 24개를 뽑아 새로운 미술사적 평가를 곁들였다. 또한 국립현대미술관 김인혜 큐레이터의 목소리를 통해 요절한 거장 이중섭의 생생한 ‘얼굴’을 확인한다.

COVER
정서영 <운동> 각목, 합판, 못 89×210×35cm 2013 ⓒ 정서영 특집 <김세중조각상 30년> 관련 이미지
SPECIAL FEATURE
김세중조각상 30년
067
Pictorial
096
❶ 한국 현대조각 다시 읽기 / 김복기 ❷ 30년의 회고와 전망 / 오광수 최태만 최열
FOCUS
046
리우웨이(Liu Wei)展: 불확실성의 풍경 / 황영희 이숙자展: 초록빛 환영 / 정준모 이지은展: 심혼의 세계 / 서성록 샌 정(Sen Chung)展, 김지원展: 그리기, 두 가지 태도 / 최지아 율리시즈의 귀환: 인형극, 죽음의 노래 / 김정현 김소라展: ‘소리’의 열린 해석 / 김진호
ARTIST INTERVIEW
102
박찬경(Park Chan-Kyong): 가깝고도 먼, 유령에게 말을 건다 / 장승연
SPECIAL ARTIST
이중섭 1916~2016
138
❶ Pictorial
146
❷ Chronology 백년의 신화, 결정적 장면 24 / 최열
162
❸ Interview 김인혜 국립현대미술관 큐레이터 이중섭은 왜 ‘국민화가’인가? / 채연
ABROAD REPORT
114
베를린비엔날레(Berlin Biennale): 가상이 현재에 접속할 때 / 백기영
122
테이트모던 스위치하우스 (Tate Modern Switch House): 새 시대의 뮤지엄 전략은? / 고원석
SERIAL
128
백남준 10주기 추모: 사라진 Pre-Bell-Man을 찾아서 ❹ / 호나야
NEW LOOK
130
이미정: ‘성적 유희’로 저항하기 / 황영희
132
고권: 자연과 교감하는 몽상의 인물 / 채연
134
최윤석: 소소한 수집, 일상의 재구축 / 이현
ART ISSUE 200: CELEBRATION
044
❷ ‘우주를 항해하는 Art 콜라주’ / 김구림
ART FIELD
169
멀리 있는 방展, 디자인 없는 디자인展, 오윤 30주기展, 지금여기, 아트스펙트럼 작가상, KT&G SKOPF 작가 선정, 2017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2016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앵프라맹스 콘서트, 제19회 서울프린지페스티벌, 소설가 한강의 퍼포먼스와 《채식주의자》
ETC.
045
EDITORIAL / 장승연
177
SUBSCRIPTION
178
CREDIT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2024.11.01~)
[만료]고흥군청(2024.11.01~2025.01.08)
[만료]한솔제지(2024.11.13~2025.01.08)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