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ART IN CULTURE / 2020.09

₩ 6,000

9월호 특집은 작고 작가의 삶과 예술을 재조명한다. 그 주인공은 이승조, 이성자. 이승조(1941~90)는 한국 기하학적 추상회화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그 예술의 요체는 ‘핵(核, nucleus)’. 혼란스러운 한국 사회에서 새로운 미술의 중흥을 위해 핵이 갖고 있는 근원성과 폭발적 에너지에 주목했다. 작고 30주기를 맞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에서 대규모 회고전 <도열하는 기둥>(7. 1~10. 4)이 열리고 있다. 필자 최정주는 당대 서구 전위적 미술과 담론의 직간접적 체험이 이승조의 회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이성자(1918~2009)는 한국 현대미술사에 반짝이는 ‘은하수 화가’다.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프랑스로 건너간, 해방 후의 ‘제1호 재불 화가'. 2008년 가족과 모국의 그리움을 담은 작품 376점을 고향 진주에 기증했다. 그 예술혼도 함께 ‘귀향’했다. <우주를 향한 끝없는 여정>(9. 1~10. 11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은 기증작과 기초 자료를 대대적으로 정리해 선보이는 전시다. 필자 박신영은 정주하지 않은 이성자의 예술 여정을 도전과 희망의 ‘오디세이’로 읽는다. 한편, ‘신 라이프치히파’의 대표 작가 팀 아이텔(Tim Eitel)이 대구미술관에서 개인전 <팀 아이텔-무제(2001~2020)>(7. 7~10. 18)를 개최했다. 지난 20년간 조형 세계를 집약하는 전시를 맞아 사진적 리얼리티, 고독한 인물, 유목적 삶과 장소 등의 작업 개념을 논한 인터뷰를 준비했다. 이밖에 자연의 공기를 포착해내는 탁월한 묘사력의 권훈칠, 엄마와 아이의 정서적 유대를 형상화한 카미유 앙로를 소개하고, SNS의 다중 자아 ‘부캐’가 역습해오는 동시대미술 현장 크리틱도 함께 만난다.

COVER
이성자 <만돌린> 캔버스에 유채 55×45cm(부분) 1956 이성자기념사업회 제공
SPECIAL FEATURE
작고 작가 재조명
087
이승조 (1) Pictorial (2) Critic: 핵, 예술의 근원과 폭발력 / 최정주 (3) Archive
109
이성자 (1) Pictorial (2) Critic: 우주로의 오디세이 / 박신영 (3) Archive
FOCUS
060
하산 하자즈展: 화려한 패턴이 나를 감싸네 / 권정현 미술관에 書: 서예는 현대미술이다 / 조인수 김홍석展: ‘작은’ 사람들 / 장지한 한성우展, 윤석원展: 가상 시대의 추상화 / 정현 정영한展: 이미지와 언어의 결합 / 윤진섭 유비호展, 조소희展: 그물코 예술 / 김종길 슈퍼 히어로展, 이은새展: 오늘의 레디메이드 / 허호정 플랫포밍 합정지구展: 슬쩍 다녀가세요 / 정희영
IMAGE LINK
130
카미유 앙로: 아가야, 내가 너를 안았을 때 / 이현
ARTIST INTERVIEW
140
팀 아이텔: 회화의 ‘창’, 리얼리티 바깥의 리얼리티 / 브리짓 브록스마
MEMORIAL
150
권훈칠: 어느 맑은 아침 / 김복기
CRITIC
158
SNS ‘부캐’의 역습 / 정현
ETC.
059
EDITORIAL 비평은…, 가려내는 일 / 김복기
164
PEOPLE_a’strict: 영원한 자연, 현실의 해방구
166
PEOPLE_이미래: ‘먹고 먹히는’ 원초적 감각
168
MARKET_2020KIAF: 아트페어, 팬데믹을 넘어
169
PRISM_코로나 시대의 미술: 거리미술에 희망을 걸다
170
EXHIBITION_프로젝트 해시태그: 서울 ‘세로’지르기
171
COLUMN_온라인 아트마켓: ‘라이브’ 경매 대박!
172
CREDIT
173
SUBSCRIPTION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2024.11.01~)
[만료]고흥군청(2024.11.01~2025.01.08)
[만료]한솔제지(2024.11.13~2025.01.08)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