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는 <종근당 예술지상>을 지표 삼아 한국 젊은 세대의 회화 특집을 준비했다. <종근당 예술지상>은 젊은 화가를 발굴, 육성하는 메세나 사업이다. 주최측이 후보 작가를 직접 리서치하고 선정 작가를 장기적,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한국 미술계의 대표적 작가 지원 제도로 자리매김했다. 지난 9년간 이어온 프로젝트의 선정 작가 27인의 대표작을 엄선해 ‘지면 전시’를 꾸몄다. 장르와 기법의 혼융, 초현실적 풍경, 사적 경험과 내면의 투사, 기성에 대한 저항 등 한국 ‘젊은 회화’의 최신 동향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단초로 미술평론가, 큐레이터 등 전문가 4인이 좌담회를 열었다. 오늘날 한국 젊은 세대의 회화는 이전과 무엇이 어떻게 달라졌는가? 이 새로운 회화는 어디로 가는가? 또한 Art는 박래현(朴崍賢, 1920~76) 탄생 100년을 기념하는 대규모 회고전<박래현, 삼중통역자>(9. 24~2021. 1. 3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 맞춰 특별 기사를 싣는다. 운보 김기창의 아내로 부부화가, 현모양처, 화단의 홍일점이라는 수식어에 가려졌던 박래현의 예술적 위상을 재조명하는 자리다. 흩어졌던 130여 점의 작품, 드로잉, 아카이브 등을 한자리에 모았다. 박래현은 동양화의 현대성을 열어젖힌 개척자다. 박계리는 한국 현대추상화의 기수로 박래현을 재평가하고, 학예연구사 김예진은 전시기획의 숨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외에도 11곳의 도시로 아트투어를 떠나 베스트 전시 12개를 소개하고, 하반기의 핫이슈 부산비엔날레와 강원키즈트리엔날레를 리뷰한다. 퍼포먼스와 사물성의 팽팽한 관계를 살피는 김정현의 크리틱까지!
COVER
박래현 <작품> 종이에 채색 119.5×104.5cm 1962년경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SPECIAL FEATURE
077
❶ 화보: 종근당 예술지상
2012~2020 선정 작가 27인의 회화
094
❷ 라운드테이블: 오늘의 회화, 혼종의 원더랜드
김노암 김복기 안소연 유진상
FOCUS
048
A Little After The Millennium展: 팬데믹 시대의 아트 / 이선영
회화에 접근하는 네 개의 시각展: 페인팅 2.0 / 송하영
아트플랜트아시아2020展: 아시아의 ‘중심’을 꿈꾸다 / 송고은
해가 서쪽으로 진 뒤에展: 공예-미술, 동시 접속! / 백필균
소저너 트루스 파슨스展, 서동욱展: 회화의 ‘영화적’ 순간 / 정현
한만영展: 시간의 복제 / 윤진섭
더블 비전展: 테크놀로지, 시대의 명암 / 김지훈
김주원展: ‘토치카’에서 보낸 1년 / 현시원
CRITIC
WORLD NOW
120
타이베이비엔날레2020, 리 크라스너展, Stars展,
헤르난 바스展, Alien Vs. Citizen展, 조지 콘도展,
헬리오 오이티시카展, 라파엘 헤프티展,
주진스展, 이불展, 린디 리展, 브루스 나우먼展
ARTIST
152
채색화에서 태피스트리까지 / 김예진×김해리
HOT ISSUE
104
부산비엔날레2020: ‘지역성’이라는 환상 / 이수연
ART LAB
154
강원키즈트리엔날레2020:
최초의 어린이 시각예술 축제 / 편집부
ETC.
047
EDITORIAL
아직, 나는 배고프다 / 김복기
166
PEOPLE_샹탈 조페: “엄마는 몰라도 돼!!”
168
EXHIBITION_장식전: 장식은 미술일까?
169
MUSEUM_서서울미술관: ‘모두’의 미술관을 꿈꾸며
170
PEOPLE_박지수: 사진과 텍스트, 편집의 감칠맛
172
EVENT_난장판: 즐거운 미술 난장판!
173
PICK UP_김승희: 금속공예의 화려한 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