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ART IN CULTURE / 2022.07

₩ 9,000

엔데믹 시대의 첫 여름이 시작됐다. 저마다 미뤄왔던 여행을 떠나는 설렘이 가득하다. 여행의 본질은 낯선 ‘풍경’이다. 새로운 장소를 경험하면서 인간은 행복을 누리고 깨달음을 얻는다. 7월호 특집은 풍경에 주목했다. 동시대 풍경은 무엇이고, 어떤 공간을 매개하는가. 좋은 풍경과 나쁜 풍경은 무엇인가. 작가의 시선은 삶의 태도와 어떻게 맞닿아 있는가. Art는 이를 아우르는 답으로 ‘풍경 미학’을 제시한다. 풍경의 미학을 추구하는 아티스트 20인을 지면에 초대했다. 동시대 풍경 철학의 최근 동향을 소개하는 에세이를 덧붙였다. 여기에 국내외 작가 3인을 조명하는 특별 기사도 준비했다. 그 첫 번째 주인공은 독일 신표현주의의 후예 다니엘 리히터. 그는 변화무쌍한 ‘화풍의 변신술사’다. 리히터 예술은 구상에서 추상까지 다양한 얼굴을 띠고 있지만, 근간에는 ‘록 스피릿’이 흐른다. 두 번째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미디어아티스트 히토 슈타이얼이다. 그는 지난 30년간 디지털 시대 이미지의 위상과 사회 문제를 고찰해 왔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아시아 최초 개인전을 담당한 배명지 학예연구사 인터뷰, 미술평론가 문혜진의 크리틱을 싣는다. 마지막 작가는 남도를 무대로 활동하는 강운이다. 그는 밀레니엄 전후 ‘구름 화가’로 명성을 날렸다. 그 30년의 삶과 예술세계를 낱낱히 추적한다. 이외에도 미술평론가 임근준은 서울미술관 개관 10주년을 맞아 유니온 그룹의 회장 안병광 컬렉션을 분석하고, 세무사 권민은 기존 조세법 체계에서 NFT아트에 세금을 부과할 여지가 있는지 검토한다.

COVER
이해반 <금강산> 캔버스에 유채, 아크릴릭 141.5×375.5cm(부분) 2020 Courtesy the Artist
SPECIAL FEATURE
My Summer Story
작가 20인의 풍경 미학
074
풍경이 온다 / 김복기
078
강종열 김선우 김신욱 김이수 김주영 김현철 류장복 문성식 박형근 양화선 오용길 오치균 이재삼 이해반 임상빈 임태규 전종철 정주원 최수인 하루.K
FOCUS
046
윤중식展: ‘고향’을 그리다 / 조은정 이형구展: 뼈와 내장 / 남웅 정희민展, 라파 실바레스展: 회화의 ‘피부’ / 이설희 네빈 알라닥展, 아니카 이展: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 박재용 천광엽展: 추상은 ‘없다’ / 고충환 오브제 노마드展: 가구, 떠돌이, 여행자 / 김상규
COLLECTION STORY
150
안병광 컬렉션: 한국 근현대미술 걸작, 서울미술관의 어제와 오늘 / 임근준
ARTIST
110
다니엘 리히터: 펑키 유토피아 / 김해리
ARTIST STUDY
히토 슈타이얼: 디지털 테크노 아나키스트
120
인터뷰: 디지털 자본주의에 저항하다 / 배명지×조현대
122
크리틱: ‘이미지’를 구원하라 / 문혜진
ART RECIPE
134
강운: 마음산책, 치유의 여정 / 이현
NEW LOOK
144
곽영준: 퀴어 아트, 고전을 갈망하다 / 김해리 람한: 끈적끈적 말랑말랑, 픽셀 페인팅 / 조현대 선우: ‘인간 이후’의 신체를 상상하다 / 조재연
SERIES
158
현대미술 낙수기 ❻ 북으로 간 미술가들 / 오광수
ZOOM IN
162
올라퍼 엘리아슨: 예술, ‘지속 가능한’ 꿈 / 김해리
164
노순택: 실루엣의 정치학 / 조재연
166
톰 삭스: 예술가를 우주로! / 조현대
168
아트제주&제주비엔날레: Art in 제주, 혼저옵서! / 이현
CRITIC
170
NFT아트: 과연, 세금 부과의 대상인가? / 권민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2024.11.01~)
[만료]고흥군청(2024.11.01~2025.01.08)
[만료]한솔제지(2024.11.13~2025.01.08)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