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ART IN CULTURE / 2025.04

₩ 15,000

한국화는 파란중첩(波瀾重疊)의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는 20세기와 21세기를 가로지르는 미적, 제도적, 정치 사회적 이슈가 복잡다기하게 뒤얽혀 있다. 해방 이후 한국화 논의는 언제나 이중고를 겪어왔다. ‘일제 잔재 청산’과 ‘민족 예술의 중흥’이 당면 과제였다. 이후 한국적 정체성 확립이라는 내부 문제와 동시대의 보편성 획득이라는 외부 문제가 언제나 겹쳐있었다. 한국화라는 명칭은 1954년 청강 김영기가 처음 제기했다. 1980년대 각종 공모전과 교과서에서 ‘동양화’ 대신 ‘한국화’를 표기하면서 공식화되었다. 그러나 88서울올림픽 이후 한국 미술이 급속하게 동시대성을 획득해 가는 과정에서 한국화는 거꾸로 ‘위기’를 맞았다. 근본적으로 한국화라는 모호한 용어 자체가 논쟁의 중심이었다. 한국화의 정체성을 재정비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지필묵 전통을 계승하면서 한국화의 현대화를 모색하고, 시대정신을 투영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됐다. 지금도 한국화는 치열한 변화의 과정에 있다. 전통과 현대의 인력과 척력! Art는 광복 80년, 한국화가 걸어온 도정을 되돌아보고, 내일의 방향을 모색하는 특집을 기획했다. 먼저, 한국화의 격량을 헤쳐온 시대의 주역을 선정하는 앙케트를 마련했다. 전문가 80명이 127명의 작가를 추천했다. 이 앙케트 결과를 면밀히 분석한다. Key Person을 통해 한국화 80년의 시대별 쟁점을 재조명한다. 또한 두 편의 크리틱으로 한국화의 중요 의제를 폭넓게 조망한다. 이동국은 20세기 역동의 시공에서 한국화가 독자적인 장르로 발전해 온 길을 추적한다. 한국화는 전통서화와 서구 미술의 조형 언어가 융합하고, 지역성과 국제성이 교차하는 굴지의 현대회화이다. 백필균은 2000년대 이후 한국화의 핵심 사건과 전시를 망라한다. 전통을 과감하게 혁신하고, 이를 뜨거운 현장으로 확산하는 포스트한국화의 새로운 경향에 주목한다.

COVER
이응노 <문자 추상> 천에 채색 135×114cm(부분) 1975 Courtesy of the artist
SPECIAL SERIES
광복 80년 한국미술 80년
한국화의 전통과 전위
080
Enquete
한국화의 격랑, 시대의 주역은?
전문가 80인이 뽑은 Key Person
096
Critic ❶
20세기 서화미술, 현대화의 도정 / 이동국
Critic ❷
포스트한국화, 혁신과 확산의 힘 / 백필균
FOCUS
052
구본창展: 사물, 인간의 그림자 / 박지수
이민주展, 김현철展: 법고창신의 파란 / 김형숙
지훈 스타크展: 부엌, 어머니의 품 / 이선영
금빛 땅의 유산展, 뷰엔 칼루바얀展: 열대 풍경의 겉과 속 / 이문석
알바로 베링턴展, 임민욱展: 태양의 카니발 / 김종길
레디메이드展: 레디메이드 어게인! / 이승환
강서현展, 남다현展: ‘이항 대립’의 전복 / 남웅
ART MARKET
글로벌 아트페어 리포트 8
134
프리즈 로스앤젤레스, 펠릭스아트페어: 아트벨트의 이동, 변화는 기회다 / 변지애
아트021 상하이, 웨스트번드아트앤디자인: 상하이의 지속 성장, 자생성이 무기! / 박준수
아트컬래버레이션교토: 교토 헤리티지의 저력, 국제 화랑과의 컬래버 / 이승민
아트바젤 파리: 브렉시트 효과, 유럽의 중심은 파리로? / 주연화
프리즈 런던: 트렌드의 최전선, 컬렉션 환경의 혁신 / 정희철
아트자카르타: 동남아의 맹주, 대안 마켓의 에너지 / 조재연
IMAGE LINK
110
윤종숙: 나의 봄 나라 / 김해리
ARTIST
116
천경우: 퍼포머티브 사진, 공명의 프레임 / 조재연
124
이진우: 한지와 숯의 터, ‘생명의 노래’ / 고충환
CRITIC
152
하종현: 아방가르디스트 5975 / 윤진섭
ZOOM IN
158
조각가 김재용 신작 개인전 / 최수연
김인겸 대구 회고전 / 이현
미술관 주제전 3 / 김해리
스웨덴 기획전 <나는너를중세의미래한다2> 리뷰 / 이설희
미술관 및 갤러리 개관 5 / 최수연
촛불은 ‘질문’이다 / 이상헌
ETC.
050
Editorial 한국미술 80년, ‘오래된 미래’를 찾아서... / 이현
자사 구독 광고
자사 이우환 광고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