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부산비엔날레 되짚어 보기
2012 / 11 / 20


로저 M. 뷔르겔(Roger M. Buergel)
배움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배움위원회 첫 모임

성효숙_워크샵

이본 아란베리_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메리 엘렌 캐롤_좌천동 워크샵

로이스 응_퍼포먼스
두드러졌다. 배움위원 커뮤니티는 시간이 지날수록 견고해졌으며, 마지막까지 성실하게 참여한 40여 명의 배움위원은 그들이 직접 워크숍 테마를 정해 모임을 주최하기도 하였고, 전시 투어를 자청하여 진행했다. 미술전공자가 아닌 대부분의 배움위원은 자신의 경험을 허심탄회하게 관람객에게 이야기하며 현대미술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11월 18일 로이스 응이 진행한 가상국가 건립 프로젝트 <Red and the Black>의 퍼포먼스에서 아이들 20여 명과 함께 연극을 하였는데, 코디네이터 이외에도 배움위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배움위원회 설명 장면

에듀케이터 설명 장면
공사장을 코스프레 한 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외부전경

부산시립미술관 2층 설치전경

노재운 <대나무 숲의 유령들> 혼합재료 가변크기 2012
로저 M. 뷔르겔 은 관객이 작품을 편견 없이 바라보고 이해하기를 원했지만, 아무런 의미 없이 작품을 놓은 것은 아니었다. 감독은 같은 공간에 여러 작품을 함께 배치하는 경우, 각 작품이 가지는 의미 이외에도 작품 사이의 관계 혹은 그 관계로 생성되는 새로운 의미에 주목하고 싶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 물론 어떤 작품이 구체적으로 어떤 연관관계를 가지는 지에 대해 일일이 설명하지는 않았다. 감독은 관객이 자신만의 내러티브를 만들어 여러 작품을 한 공간에 설치한 이유에 대해 고민해보길 원했다.

사카린 구루에온 <자각의 시대에 대한 기념비> 혼합재료 가변크기 2012
배움의 정원을, 걷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