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케이티패터슨展

3. 24 ~ 5. 6 PKM갤러리┃BartlebyBickle&Meursault(http://www.pkmgallery.com/exhibitions/2011-03-24_katie-paterson)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122d7cea31e4e44a641c15d4c36780cd9af4d149-570x428.jpg

케이티 패터슨 <Vatnajökull(the sound of)> 하이드로폰 모바일폰 DE500 가변설치 2007

ⒸKatie Paterson and PKM Gallery┃Bartleby Bickle & Meursault

최근 런던 《옵저버(Observer)》지에 의해 “영국 최고의 신인 아티스트” 4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되며 호평을 받고 있는 케이티 패터슨(Katie Paterson)의 개인전이 열린다. 작가는 자연 환경 우주에 대한 생각과 관련된 여러 전문 분야의 실행을 참고하는 등 풍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시적이면서도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방식으로 작업한다. 이번 전시를 위해 갤러리 공간에 맞도록 구성된 근작과 신작을 선보인다.

<Vatnajökull(the sound of)>는 아이슬란드 빙하에 묻어놓은 마이크로폰을 오디오 장치와 휴대폰 선에 연결시켜 발신자가 세계 어느 곳에 있든 실시간으로 빙하가 느리게 녹아가는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한 작업이다. <Earth-Moon-Earth(Moonlight Sonata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Moon)>는 베토벤의 악보를 모스부호로 변환해 달에 반사되도록 재구성한 ‘월광 소나타’로 개념적인 면에서 매우 충실한 동시에 시적이다.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2d0e0756a5cfbee8aab71f71e9200b4d542ac2ff-570x428.jpg

케이티 패터슨 <History of Darkness> 진행 중인 슬라이드 아카이브 2010

ⒸKatie Paterson and PKM Gallery┃Bartleby Bickle & Meursault

작가는 재현에 있어 감정을 많이 드러내지 않고 표현을 아끼는 반면, 다양한 기술 전문가들과 오랜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협력한다. 예를 들어, 달빛과 동일한 파장을 지닌 백열전구 한 세트로 구성된 <Light Bulb to Simulate Moonlight>는 오스람(OSRAM)과 협력한 작품이며, 장기 프로젝트 <History of Darkness>는 우주 전체의 각기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포착된 어둠에 대한 십 억년에 걸친 슬라이드 아카이브이다. 별의 죽음을 발표하는 친필편지 작업 <The Dying Star Letters>는 천문학자와 우주학자들로부터 감마광선 파열, 별의 죽음을 알리는 현상들을 참고하고 통지받은 후 이루어진다. 관람객과 먼 우주 사이의 거리를 무너뜨리는 이 작품은 작가의 다른 작업들이 그러하듯 절제되어 있지만 친밀한 표현이다.

● 케이티 패터슨(Katie Paterson)

1981년 글래스고 출생. 현재 베를린에 거주하며 작업. 에든버러 컬리지 오브 아트 학사 및 존 플로런트 스톤 펠로우(John Florent stone Fellow). 런던 슬레이드 파인 아트스쿨 석사. 런던대 천체물리학그룹 레지던스 작가. 뉴욕 제임스 코헨 갤러리(2011), 옥스퍼드 현대미술관(2008), 런던 알비온 갤러리(2008), 런던 매튜 본 갤러리(2007)에서 개인전. <스페이스. 꿈에 관하여>(비엔나 쿤스트할레, 2011), <퍼포마09>(뉴욕) <유니버셜 코드>(토론토 파워플랜트 현대미술센터, 2009), <얼터모던: 테이트 트리엔날레>(런던 테이트 브리튼미술관, 2009) 등 국제적으로 중요한 그룹전에 선정. 볼보(Volvo)가 주최하는 ‘크리에이티브 30 어워드’ 1회(2008) 수상자.

02)734-9467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2024.11.01~)
[만료]고흥군청(2024.11.01~2025.01.08)
[만료]한솔제지(2024.11.13~2025.01.08)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