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NewLook]김상진

2015/11/01

감각과 인식의 사이
김상진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3d9f10e6dce6a28da5b2f8ec403c1bc2fb5b4103-500x334.jpg

〈InVisibility_TheHistoryofEntropy〉혼합재료166×50×80cm2013

인류의 역사는 세상만사에 질문을 제기하며 일구어져 왔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삶의 많은 부분을 당연하게 여기며 살아 왔다. 특히 언어, 질서, 체계 등 우리의 삶에 근본적인 ‘틀’이 그러하다. 그중 가장 부수기 어려운 틀이 바로 ‘인식’이다. 인간은 다양한 감각을 통해 주변 세계를 받아들이고, 뇌는 과거의 경험이나 지식을 바탕으로 이렇게 전달된 정보가 무엇인지 분별해 내는데, 이 과정이 ‘인식’이다.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7cd8a89c03a795a98c6456ca6782510ce5ed5431-500x342.jpg

〈InVisibilityCell〉목재,물탱크,프린터가변크기2012

작가 김상진은 이 인식 과정 자체를 조목조목 뜯어 가며 실험한다. “확고하게 정해진 듯한 자아와 대상의 존재간의 (일반적인 사람들의 삶 속에서 벌어지는) 인식 관계라는 것은 정해진 질서를 확인하는 당연한 과정처럼 느껴지지만 그 안에 감추어진 의심의 고리들을 연결하는 작업은 그 질서의 근간을 흔들어 나가는 일이다.”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5d9cfcd1eff8cc059987107ad74302a266092bb6-500x346.jpg

〈InVisibilityCell〉목재,물탱크,프린터가변크기2012

전 세계 40개 언어에서 우리말 ‘멍멍’에 해당하는 개 짖는 소리의 의성어 48개를 모아 동시에 재생한 <Dog Sounds>(2010)는 그 원형보다는 오히려 소음에 가까운 소리를 낸다. 각 언어별 개 짖는 소리는 그 기의에 맞는 최적의 기표로 구성됐다지만 그 최적의 합은 그야말로 ‘개소리’가 되고, 언어 체계 전체에 대한 의구심을 품게 한다.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9e96fdb17322d6f311b9f51e30d2044985b4d63a-500x463.jpg

〈AirPurifier〉생화,공기청정기,유리,물160×100×80cm2011

작가는 이처럼 청각, 후각 등 인식 과정의 첫 단추인 감각적 요소를 작업에 도입함으로써 관객이 직접 그 당위성의 오류를 체험케 한다. 인간의 후각을 토대로 개발된 공기청정기가 담배 연기는 물론 꽃향기까지 정화시키는 <Air Purifier>(2011)는 그 왕성한 기능성에 실소를 머금게 한다.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fd94da5f388c8fe36f470ae015717d6c45d80cd5-500x354.jpg

〈ThinkingPanels〉검정색판넬에하얀60×40×3cm2010~11

작가는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감각의 대상 그 자체, ‘원본’을 의심한다. “인간의 인지 체계가 필요로 하는 인지 가능 범위의 신호들만이 추출된 채, 원본은 점점 더 그 유용성(아우라)을 잃어 가고 추출된 신호와 기호들은 필요 범위 안에서 재조합, 조립된다.” 옷을 입혀 앉혀 놓은 마네킹의 얼굴에 시시각각 변하는 작가 자신의 얼굴 영상을 투사하는 <The Street Where I’m Living>(2010), 스스로 목탁을 치도록 제작된 기계장치가 교묘하게 치는 척만 하고 녹음된 목탁 소리를 재생하는 <Meditation>(2013) 등은 관객이 가짜를 진짜라고 믿을 만한 최소한의 조건만 조성해 그 고상한 원본의 가치를 유린한다.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eb78d26d8a8bd9279f14df0f65d7b75316d2cb71-500x644.jpg

〈DogSounds〉석유드럼통,스피커70×50×50cm2010

그렇다면 우리는 과연 무엇을 신뢰하며 살아갈 수 있을까? 잉크젯 프린터로 물 위에 인쇄를 하는 <In Visibility_The History of Entropy>(2013)는 고대 상형문자부터 현대 디지털 언어, 사진, 회화 작품 등 인류의 인식 과정의 산물을 수면 위에 ‘기록’하지만 이내 검은 잉크가 물속에 융해돼 ‘소멸’되고 만다. 우리의 인식 체계 속 세상만물이 물속 잉크의 종잡을 수 없는 춤사위처럼 흔들리는 순간이다.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f265c58ff268e6b79b9a149ae4e452d951f6235c-500x562.jpg

김상진/1979년서울출생.서울대조소과영국골드스미스순수미술석사졸업.갤러리민(2011),금호미술관(2013),대안공간루프(2014)에서개인전개최.〈DreamingMachines,4thMoscowInternationalBiennaleforYoungArt〉(2014,모스크바NCCA),〈RobotEssay〉(2015,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다수의기획전참여.서울아라리오뮤지엄스페이스(10.3~25)와제주아라리오뮤지엄탑동바이크샵(10.10~2016.1.3)에서개최될〈헬로!아티스트:창조하는그리고공감하는자〉전에참여할예정이다.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2024.11.01~)
[만료]고흥군청(2024.11.01~2025.01.08)
[만료]한솔제지(2024.11.13~2025.01.08)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