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NewLook]임영주

2016/11/01

믿음의 ‘구조’ 비집기
임영주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405ad32673a7bc66f5b1d52b33e2672b411f4ce2-500x226.jpg

임영주개인전<오늘은편서풍이불고개이겠다>전경2016스페이스오뉴월_바닥에놓인작품들은<몇드림>오브제가변크기2016

‘요사스러운 정령’을 뜻하는 요정을 찾아나선 사람들이 있다. 강변 밑바닥에 숨겨진 사금을 채취하는 사람들이다. 임영주의 최근 영상작 <돌과 요정>은 사금을 요정님이라 부르는 이들과 지구로 낙하한 운석에 영험한 기운이 있다고 믿는 이들의 행적을 기록한 ‘판타지 다큐멘터리’다.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ac6194027de10dc3eaa54f03e3eab800e8a5da68-500x282.jpg

<돌과요정>기록영상44분28초2016

물질과 믿음의 상관관계에 대한 비과학적 사례를 담은 단행본 《괴석력》에서는 <돌과 요정>의 작업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작가는 달 바람 운석 사금 등 자연의 물리적 현상에 ‘믿음’이라는 의미를 부여하는 사람들의 종교적 감수성을 발견하고, 물질과 비물질의 세계 그 중간 어디 즈음을 찾아 나선다.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262dff1203ea227cf1b18ed14722c93e081573c9-500x282.jpg

<석력>단채널비디오1분50초2016

2013년 선보인 <축감생> 연작은 성교에 의하지 않고 어떤 사물에 감응되어 잉태한다는 설화를 소재로 한 회화작업이다. 작가는 이 작업을 통해 설화에 깃든 민족의 원초적이고 근원적인 믿음을 깨워낸다. 우리에게 ‘믿음’이 받아들여지고 만들어지는 ‘구조’를 보여주는 과정에 작가의 판타지가 개입하는 것이다. 회화 설치 영상 출판 등 작가가 보여주는 다양한 형식은 그의 언어를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매체이자, 원시부터 지금까지 존재해 온 ‘믿음’을 전달하는 영매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닐까?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f3f070250ab00316118e05471e842eb2efe2bbc5-500x397.jpg

임영주/1982년부산출생.홍익대회화과동대학원회화과수료.스페이스오뉴월(2016),더북소사이어티(2016),레스빠스71(2014),스페이스선플러스(2014),갤러리도스(2013)에서 개인전개최.<육각의방>(금호미술관2016), <공교롭게도회화>(갤러리플래닛2016),<요지경>(오픈더도어2016),<중앙미술대전선정작가전>(예술의전당2015),<용한점집>(자하미술관2015)등의단체전참여.금호창작스튜디오입주작가(2014).퍼블릭아트뉴히어로(2015),중앙미술대전(2015)선정작가.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2024.11.01~)
[만료]고흥군청(2024.11.01~2025.01.08)
[만료]한솔제지(2024.11.13~2025.01.08)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