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박이소씨,우리는행복해요?!"

아트선재센터에서는 2004년 작고한 개념미술가이자 설치작가 박이소의 드로잉을 모은 <개념의 여정>전이 열리고 있다. 이에 artwa에서는 과거 art in culture가 다루었던 박이소 관련 기사를 되돌아 본다.  아래의 기사는 박이소 유작전 <탈속의 코메디(Divine Comedy)>의 개최에 맞춰 마련된 art in culture 2006년 4월호(http://www.artinculture.kr/content/view/121/38/)의 특집 "박이소씨, 우리는 행복해요?!"의 일부분이다.  1984년부터 1997년 사이의 작업과 그 이후의 작업을 비교·분석한 <박모 대 박이소> 부터 들여다 보자.

박모 대 박이소

1982년 뉴욕으로 유학을 떠난 박철호는 1984년 스스로의 이름을 박모로 개명한다. 그 후 박모는 현대미술 담론의 한 가운데 선 뉴욕의 아시아계 남성으로서 '정체성의 정치학'을 따른다. 그러던 그가 1995년 한국으로 귀국한 후 1997년에는 다시 한번 개명하는데 그 이름이 우리에게 알려진 박이소다. 그는 이름을 바꾼 후 정체성의 정치학에 대한 이야기를 그만두고, 허약하고 값싼 재료들을 이용, 특유의 냉소주의에 젖은 작품들을 펼쳐 놓는다. art는 박모의 이런 대립된 양상을 포착하고 그의 '박모'로서의 작업과 '박이소'로서의 작업을 대조해봤다.

<<박모>>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9f223bc6a2d8d9dea220a3aa963abe5f6e61cd16-570x586.jpg

<무제>캔버스에아크릴릭,플라스틱밥솥175×180cm1985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14f7cba5f9eb9403ff35455d1be36d086e3bf364-570x236.jpg

<이그조틱-마이노리티-오리엔탈>컬러사진,에나멜페인트76×61cm1990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56532db917ae36a864430fa6a93e5be9ca9d627e-570x291.jpg

<식탁용의자>1994<쓰리스타쑈>혼합재료96×127cm1994

<<박이소>>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9c475d6756cdda92aa719d3679ab7cac7efed8c1-570x353.jpg

<유엔타워>합판,나무,종이박스,아연도금철판,건축자재쓰레기,스티로폼,드로잉1997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4ed07ff4530e8392edb0fb07abc60bb2a9a0bc3d-570x429.jpg

<오늘>감시카메라대,비디오프로젝터대,나무로만든25×300×300cm2001(2006년재제작)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8b748fd3d5052cd1fa34d2ba19d0e941e61d5253-570x428.jpg

<팔라야바다(Fallayavada)>혼합재료200×300×400cm2004(2006년재제작)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2024.11.01~)
[만료]고흥군청(2024.11.01~2025.01.08)
[만료]한솔제지(2024.11.13~2025.01.08)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