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의 요괴들 발자취_⑥샘표아트팩토리 & 출판 및 홍보 프로젝트
2013 / 01 / 25

샘표 아트팩토리 프로젝트
‘2013동방의 요괴들’ 공모 기간 동안 살펴보는 ‘동방의 요괴들’ 발자취! 그 마지막 순서는 ⑥샘표아트팩토리 & 출판 및 홍보 프로젝트. ‘동방의 요괴들’은 2010년 6월부터 1년 여간 샘표식품과 함께 <샘표 아트팩토리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미술과 기업 메세나의 만남이 초대형 공공미술을 탄생시켰다. 이처럼 국내외 아트씬의 다양한 현장을 누빈 ‘동방의 요괴들’은 미술전문언론 'art in culture'가 주최하는 만큼 출판 및 홍보 프로젝트라는 든든한 후원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연간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art in culture>에서 지면 중계하고, 1년 동안 진행한 다양한 프로그램 활동상을 총 수록한 ‘애뉴얼 리포트’를 발간하며, 응모 작가의 전시 광고 혜택 및 프리뷰 기사를 게재한다. artwa는 art in culture 2011년 9월호(http://www.artinculture.kr/content/view/858/120/)에 실린 ‘샘표 간장공장, ‘매머드 벽화’로 다시 태어나다!’(부분 발췌)를 소개한다.
SEMPIO 東邦妖怪
ART FACTORY PROJECT

상공에서 본 샘표식품 이천공장 전경. 1987년 준공된 이천공장은 단일 품목을 생산하는 설비 시설로는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23,150㎡)를 자랑한다.
간장공장, ‘매머드 벽화’로 다시 태어나다!
글|호경윤 수석기자

벽화 도색 작업 전의 공장 전경. 이천공장은 연간 간장 생산량이 80,000㎘에 달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식품 산업 시설이다.

작가 정지윤이 맡은 포장동 벽면 일부분. <십장생도>에서 모티프를 얻어 샘표식품 임직원의 부귀영화를 기원하고 있다.

생산동 및 연구소 건물을 맡은 이우리는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모티프를 얻어 도안을 제작했다. 위층 측면과 굴뚝은 그리마 작품.

작가 그리마가 맡은 곡물보관탱크. 사진의 반대편에 그려 넣은 재미있는 표정의 동그란 아이콘은 탱크 속에 보관된 콩을 상징화했다.

작가 나광호가 디자인한 동력동. 샘표식품 직원과 견학 온 어린이들의 낙서를 이용해 자유로우면서도 순수한 꿈을 표현했다.

프로젝트 완성을 기념하며 이천공장 내 샘표스페이스에서 개최된 <샘표 D-Factory> 전시 전경

영상 기록을 담당한 작가 김태윤의 샘표 애니메이션 비디오(2011) <Lost Generation>(2009) 설치 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