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2015마을미술프로젝트성과보고세미나개최

2016/03/03

2015 마을미술프로젝트, 그 결과는?
2015 마을미술프로젝트 성과보고 세미나 개최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7c0813ba286f66e51f09ed882e359519f5e4ef6c-500x329.jpg

이재형엘로디〈술,시간을깨우다2〉2015경북함창

2015 마을미술프로젝트 사업의 마무리로 ‘2015 마을미술프로젝트 성과보고 세미나’가 2월 24일 열렸다. 이 자리는 지난 1년 동안 기획하고 실행한 마을미술프로젝트의 진행 과정과 그 결과를 발표하기 위해 마련됐다. 2015 마을미술프로젝트는 전남 해남군, 충북 음성군, 경북 상주시, 광주광역시 서구, 강원 평창군, 경기 부천시를 해당 지자체로 선정했다. 지자체 선정은 3가지 공모 방식을 통해 이뤄졌다. 기존의 ‘자유제안’과 ‘기쁨두배 프로젝트’, 그리고 새롭게 추가된 ‘즐거운 동네마당’이다. 이날 행사는 김춘옥 2015 마을미술 추진위원장의 개회사에 이어서 각 지자체 프로젝트의 대표들이 ‘마을미술 사례 보고’를 발표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각 마을의 프로젝트는 지역민과 지역 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고민이 밑바탕이 되어, 미술을 매개로 새로운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참여작가들의 노력이 돋보였다. 공모 사업 외에도 2015 마을미술프로젝트는 사후관리 실태조사와 보수, 아트 투어, 지역 컨설팅 등의 자체 사업을 추진했다.

마을미술프로젝트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최하고,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와 당선 지자체가 주관하는 공공미술 사업이다. 문화 소외 지역 또는 쇠락한 지역을 지원함으로써 문화적 격차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총 82개의 지역에서 시행됐다. 2016 마을미술프로젝트는 16억 원의 사업 예산을 기반으로 공모 사업 내용을 4개 분야로 구분하여 전국 11곳 이내를 선정해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 사업은 대단위 미술마을 조성, 기존 프로젝트 지역의 추가 지원, 차별화된 콘텐츠 발굴, 창조적 마을 조성으로 지역 경제의 활성화, 아트맵 조성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올해는 공공미술프로젝트 사후관리 사업과 공공미술프로젝트 연계 확장사업, 공공미술프로젝트 홍보 및 사업 대상지 활성화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마을미술프로젝트의 지속적인 사업과 발전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많은 작가들이 창작의 기회를 얻게 되길 바란다.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2024.11.01~)
[만료]고흥군청(2024.11.01~2025.01.08)
[만료]한솔제지(2024.11.13~2025.01.08)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