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원데이
당신의 ( )를 창조하라!
제로원데이 10. 19~22 현대차 구 원효로서비스센터 부지

현대차 구 원효로 서비스센터 부지를 활용해 열린 <제로원데이 2018> 전경
10월 19일부터 22일까지, 현대차 구 원효로서비스센터 부지에서 새로운 유형의 이벤트 <제로원데이(ZER01NE Day) 2018>가 열렸다. 현대자동차그룹이 후원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 ‘제로원’이 주최한 행사로, 이곳에서 활동한 크리에이터의 프로젝트를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제로원은 지난 3월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에 문을 열었다. 창의적인 인재들이 마음껏 꿈을 펼칠 수 있도록 공유 사무실 한 개 층에 창작 놀이터를 조성했다. 국적에 관계없이 국내 거주 중인 만 19세 이상인 예술가, 연구자, 엔지니어, 예비창업자 등 다양한 분야의 창작자가 제로원에 지원했다. 심사를 거쳐 영상, 사운드,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와 AI, 로봇, 신소재, 전기차 등의 미래 산업 스타트업을 선발했다. 미디어아티스트와 스타트업 종사자의 이색적인 랑데부가 성사된 것이다.
제1회 <제로원데이>의 테마는 ‘Creat Your ( )’. 빈칸을 뜻하는 기호를 시각적으로 강조해 행사에 참가하는 모든 사람이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다는 긍정의 메시지를 담았다. 누구나 마음껏 상상력을 발휘해 행사장에서 벌어지는 생산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관객을 맞았다. 크리에이터 스페이스(Creator Space), 스타트업 스퀘어(Startup Square), 오픈 스테이지(Open Stage) 등의 프로그램 중에서 이목을 끈 것은 크리에이터 스튜디오(Creator Studio). 그동안 제로원에서 활동한 예술가 20명과 스타트업 7개의 프로젝트 21개가 일반에 처음 공개됐다.

이장원 <아르키메데스 구멍-149,597,870,700> 장소특정적 설치 2018
양아치, 이장원, 김동욱, 전진경 작가의 협업 프로젝트 <빅데이터 그래서 의식주>, 박승순, 전형산 작가의 협업 프로젝트팀 <프로젝트 모멘텀>, 스타트업 ‘엠오피(M.O.P)’의 협업 프로젝트, 양숙현, 최진훈, 현박 작가가 팀을 이룬 <서울 라이다즈>, 닥드정, 후니다킴, 조호영, 김성백 외 4인의 작가로 구성된 <엠알랩(Material Research Lab)>, 김나희, 옥정호, 황문정 작가의 협업 프로젝트 <핑크네이션(Pink Nation)>, 최병일, 최영준, 크리스쉔 작가의 개인 프로젝트 등을 선보였다. 디지털 이미지의 알고리즘, 자율 주행, 스마트 시티, 자연과 태양의 구조, 분자요리, 인터랙션 디자인 등 자칫 딱딱할 수 있는 주제를 흥미로운 방식으로 풀어낸 작품이 서비스센터의 산업 공간 곳곳에 배치되었다. 작품 주변에 마련한 설명과 모바일 웹을 통해 작가의 목소리가 담긴 오디오 가이드를 제공해, 관객의 이해를 도왔다. 관객이 폐차 1대에서 나온 총 1만여 개 부품을 재료로 창작물을 제작하는 크리에이터 스페이스의 체험 프로그램도 큰 호응을 얻었다.
행사 기간에는 내년 제로원에서 활동할 ‘제로원 크리에이터’ 모집 설명회도 실시했다. 제로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제로원은 창의인재들의 놀이터로서 창의인재들이 대우받는 환경에서 자신의 창의성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더 자세한 정보는 제로원 홈페이지(www.zer01ne.zone)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