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WorldNow]TheRoaringTwenties展inBilbao

2021/07/17

1920년대, 모더니즘의 분화구
<The Roaring Twenties> 구겐하임 빌바오 5. 7~9. 19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b72def07dd8c7d6d6efeade11e1561465f611f02-500x256.jpg

요제프알베르스<City>검정,빨강,하양불투명색유리29.1×56.1cm1928

1920년대 미국, 그 ‘광란의 20년대’를 되돌아본다. 이 시기 미국은 5천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스페인 독감과 제1차 세계대전 직후 심각한 불황을 딛고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경제 호황은 방임적인 정부 형태, 비혼 가족 구조, 유연한 노사 관계, 소수자 운동의 성장 등 사회 전방위에 급격한 변화를 촉발했고 이는 곧 예술과 문화 산업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모더니즘에 새 역사를 쓴 바우하우스, 다다이즘, 신즉물주의 운동 등이 모두 이 시기에 탄생했다.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53c1a9da98f83753509cdbc9d4ba09d6187ffd86-500x616.jpg

크리스티안샤드<Maika>나무에유채65×53cm1929

전시는 회화, 조각, 사진, 영화, 콜라주, 가구에 이르기까지 총 300여 점의 작품을 7개의 소주제로 구분해 당대의 아트씬을 재조명했다. 각 테마는 스페인 독감의 트라우마, 성 고정 관념의 붕괴, 신즉물주의, 다다이즘, 디자인과 소비문화, 패션 산업, 재즈를 다룬다. 여기에 페르낭 레제, 바실리 칸딘스키, 콘스탄틴 브랑쿠시, 한스 리히터, 장 파투, 실비 플뢰리, 그레트 팔루카 등 192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가 소환됐다. 100년 전 미술사를 뒤바꾼 팬데믹 시대. 오늘날 코로나19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길까. / 조재연 기자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64429d53f27a04c9ff9c95b4e6790f6a21dbe932-500x701.jpg

에르네스트노이슐<Takka-TakkaDances>캔버스에유채141×103cm1926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2024.11.01~)
[만료]고흥군청(2024.11.01~2025.01.08)
[만료]한솔제지(2024.11.13~2025.01.08)
아트프라이스(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