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무한展

2012/01/18

Limitless
2011. 12. 10 ~ 2012. 1. 20 아라리오갤러리 베이징(http://www.arariobeijing.com/)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d7f140f5fce26926a5a12cc9bfb1c1e3d6ca6007-600x450.jpg

미아오샤오춘<Metamorphosis-Doubt>3D컴퓨터애니매이션1분24초2011

펑 멍보와 미아오 샤오춘은 중국 현대미술계에서 미디어 아트를 이끄는 역할을 해왔다. 펑 멍보는 중국에서 가장 처음으로 컴퓨터 기술을 이용한 작품을 시도했으며 1990년대 이후부터 줄곧 컴퓨터 게임을 주요 매개로 한 다양한 실험적 작업을 해왔다. 그의 작업은 현대적인 디지털 작업과 중국의 전통적 아이콘을 사용해 독특한 시각적 효과를 보여주며 발 빠르게 변해가는 중국 사회의 모습을 투영한다. 문화대혁명 시기에 어린 시절을 보낸 그는 유년기 탐독한 전쟁 소설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가 하면, 청년 시절 즐겨 한 컴퓨터 게임을 전쟁 소설과 결합하기도 했다. 친숙한 컴퓨터 게임의 배경에 마오쩌둥과 홍위병의 모습을 덧입혀 극적인 화면을 구성하는 등 펑 멍보식 시각 언어를 확립했다.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1f9927a557baff053484791220f16d591a82f841-600x240.jpg

펑 멍보 <Q2012> 컴퓨터, 6개의 프로젝터, 스테레오 가변크기 2011

펑 멍보는 이번 전시에서 적극적이고 직접적인 이전의 표현 방식에서 벗어나 우회적인 방식으로 전환을 시도한다. 알록달록한 색감으로 컴퓨터 게임을 그대로 연상시켰던 이전 작품에 반해 <Q2012>는 중국 전통 회화의 무채색과 필묵적 터치가 돋보인다. <Q2012>는 DDR 게임을 응용한 설치 <아Q>의 리뉴얼 작업이다. <꽃은 어떻게 이토록 붉은가>의 음악에 1인칭 슈팅 게임 ‘퀘이크 3: 아레나’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영원히 끝나지 않는 무도를 표현했다. 이 작품에서 슈팅 게임 속의 죽음은 천천히 만개하는 장미의 화원으로 변하고, 그와 함께 화면의 선묘가 조화롭게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써 그는 중국 회화와 디지털 작업의 또 다른 미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https://cdn.sanity.io/images/m65sjp4q/production/3bea8309a6fa5eb78b22f217c57551fb41fb71aa-600x338.jpg

미아오 샤오춘 <Metamorphosis-Lento> 3D 컴퓨터 애니매이션 1분 48초 2011

한편, 미켈란젤로, 보쉬 등 서양 고전 명화 속 인물들을 3D 가상 세계에 익명의 인물로서 재현한 작업으로 주목받는 미아오 샤오춘은 기존의 영상 작업과 페인팅, 입체 설치를 함께 선보였다. <The Neo-Cubism—Fire>는 불과 인간의 형상을 통해 불지옥도를 표현했는데, 각기 다른 시점의 영상으로 구성된 6면체 작품을 관람자가 내려다 볼 수 있게 배치했다. 마주보는 곳에 설치된 3점의 <Metamorphosis> 시리즈는 제목에서 의미하듯 끊임없이 형성되고 소멸되기를 반복하면서 변화하는 형태에 집중하는 작품이다. <Metamorphosis-Supper>에는 여전히 명화의 요소가 엿보이며 <Metamorphosis-Lento>에는 춤추는 두 남녀의 형상을 통해 나타나는 미적 효과가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그 사이에 위치한 <Metamorphosis-Doubt>는 '변형'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내포한 작품이다. 형태를 구성하는 작은 막대가 계속해서 위치를 바꾸며 변형되고, 이는 다시 그의 회화<Absolute drawing>시리즈에서 나타난다. 이렇듯 미아오 샤오춘은 3D 영상을 통해 일상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다시점의 지각과 새로운 관찰 방식을 절제된 정공법으로 전달하고자 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두 작가의 디지털 작업이 3D화 되기도 했다. 펑 멍보의 <Q3D v3.0>와 미아오 샤오춘의 <Restart>는 보다 생생하고 자연스러운 영상으로 감상의 즐거움을 더했으며, 빠르게 발전하는 하드웨어의 혁신에 발맞추어 발전하는 미디어 아트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펑 멍보(Feng Mengbo) 1966년 출생. 1991년 중앙미술학원 졸업. 1993년 베니스 비엔날레 참여 이후 제 10회, 11회 카셀도큐멘타를 비롯하여 다수의 국제전 참여. P.S.1(뉴욕 2010), UCCA(베이징 2009)  등에서 개인전 개최. 2004년 Ars Electronica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상 수상.

미아오 샤오춘(http://www.artwa.kr/tc/owner/entry/edit/www.miaoxiaochun.com)(Miao Xiaochun) 1964년 출생. 1989년 중앙미술학원 졸업, 1999년 독일 카셀예술대학 졸업. ZKM(독일 2011), Guardini Foundation(독일 2011), 금일미술관(베이징 2010) 등에서 개인전 개최. 광주사진비엔날레(2005, 2009) 등 다수의 단체전 참여. www.miaoxiaochun.com(http://www.miaoxiaochun.com/)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2024.11.01~)
[만료]고흥군청(2024.11.01~2025.01.08)
[만료]한솔제지(2024.11.13~2025.01.08)
아트프라이스(2025)